사무엘상 다윗왕의범죄

 




다윗왕의죄악 

다윗 왕의 죄악은 구약성경 사무엘하 11-12장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의 죄악은 크게 간음죄와 그 죄를 은폐하기 위한 살인 교사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간음죄:

  • 다윗 왕은 왕궁 옥상에서 산책하던 중 자신의 신하 우리야의 아내인 밧세바가 목욕하는 것을 보고 그녀에게 끌렸습니다.
  • 그는 사람을 보내 밧세바를 불러들여 그녀와 동침하여 간음을 저질렀습니다.
  • 밧세바는 다윗의 아이를 임신하게 되었습니다.

2. 살인 교사죄:

  • 자신의 죄를 숨기기 위해 다윗은 전선에 나가 있던 우리야를 불러들여 밧세바와 동침하도록 유도하려 했으나 우리야는 충성심으로 인해 거부했습니다.
  • 이에 다윗은 더욱 다급해져 그의 군대 장관 요압에게 편지를 보내 우리야를 가장 치열한 전투에 배치하여 죽게 만들라고 지시했습니다.
  • 요압은 다윗의 명령대로 하여 우리야는 결국 전사했습니다.

죄악의 결과와 하나님의 심판:

  • 다윗은 우리야가 죽자 밧세바를 자신의 아내로 맞이했습니다.
  •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선지자 나단을 보내 다윗의 죄를 책망하셨습니다. 나단은 다윗에게 가난한 자의 어린 양을 빼앗아간 부자의 비유를 들어 그의 죄를 깨닫게 했습니다.
  • 다윗은 자신의 죄를 깊이 뉘우치고 회개했습니다. 그의 회개는 시편 51편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 하나님께서는 다윗의 회개를 받으셨지만 그의 죄에 대한 결과는 피할 수 없었습니다. 다윗과 밧세바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병들어 죽었고, 그의 집안에는 칼부림과 반역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다윗 왕의 죄악이 갖는 의미:

  • 다윗 왕의 이야기는 성경 속 인물들도 죄를 지을 수 있으며, 그 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동시에 진심으로 회개할 때 하나님의 용서를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합니다.
  • 이 이야기는 권력의 남용과 인간의 연약함, 그리고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합니다.

윗왕은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자 칭호를 받을정도로 믿음이 깊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인계에 넘어간 이유?

다윗 왕이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라는 칭호를 받을 정도로 깊은 믿음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미인계(엄밀히 말하면 다윗 스스로 유혹에 넘어간 것이지만)에 넘어간 이유는 인간 본성의 복잡성과 권력의 위험성, 그리고 순간적인 방심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1. 인간의 연약함과 죄성:

  • 아무리 믿음이 깊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완벽한 존재는 아닙니다. 성경은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다고 말합니다(로마서 3:23). 다윗 역시 인간적인 욕망과 연약함을 가진 존재였으며, 순간적인 육체의 욕망에 굴복한 것입니다.
  • 특히 아름다운 여인을 보고 마음이 흔들리는 것은 인간의 보편적인 취약점 중 하나입니다. 다윗 역시 이러한 인간적인 연약함을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2. 권력의 영향력과 안일함:

  • 다윗은 이스라엘의 강력한 왕으로서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권력은 때때로 자기 통제력을 약화시키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간과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전쟁터에서 병사들이 목숨 걸고 싸우는 동안, 다윗은 왕궁에 머물며 안일한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그가 외부의 유혹에 더 쉽게 노출되도록 만들었을 수 있습니다.
  • 권력은 때로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키고, 윤리적인 판단력을 흐리게 할 수 있습니다.

3. 순간적인 방심과 유혹:

  • 다윗이 밧세바를 처음 보았을 때, 그는 즉시 죄를 저지른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 시선을 거두지 않고, 호기심과 욕망에 이끌려 그녀를 불러들인 것이 죄의 시작이었습니다.
  • 순간적인 방심과 작은 유혹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을 때, 그것이 걷잡을 수 없는 큰 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마치 작은 불씨가 큰 화재로 번지는 것과 같습니다.

4.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의 의미:

  •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라는 칭호는 다윗이 완전히 죄가 없는 완벽한 사람이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이는 그의 근본적인 마음의 방향, 즉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뜻을 따르려고 노력하는 중심을 하나님께서 인정하셨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 다윗은 죄를 지었지만, 나단의 책망을 듣고 깊이 뉘우치며 회개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그의 회개하는 마음 또한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다윗 왕이 미인계에 넘어간 이유는 그의 인간적인 연약함, 권력으로 인한 안일함과 윤리적 판단력 저하, 그리고 순간적인 방심과 유혹에 대한 부적절한 대처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는 아무리 믿음이 깊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죄의 유혹에 노출될 수 있으며, 항상 깨어 경계하고 자신의 연약함을 인지하며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줍니다. 또한, 그의 회개를 통해 하나님의 용서와 회복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기도 합니다.

나단이 다윗에게 들려준 비유 속에 가난한 농부와 부자가 등장합니다. .

나단이 다윗에게 들려준 비유:

"어떤 성읍에 부자와 가난한 자가 살았습니다. 부자는 양과 소가 매우 많았지만, 가난한 자에게는 그가 사서 기른 어린 암양 새끼 한 마리밖에 없었습니다. 그 양은 가난한 자와 그의 자녀들과 함께 자라며 그의 품에서 먹고 그의 잔에서 마시며 그의 무릎에서 자곤 하였습니다. 그에게는 딸처럼 귀한 존재였습니다.

어느 날 부자에게 손님이 찾아왔습니다. 부자는 자기의 양과 소를 아껴 손님에게 대접할 것을 잡지 않고, 가난한 자의 그 어린 암양 새끼를 빼앗아다가 자기에게 온 손님을 위해 잡아 음식을 차렸습니다."

이 비유를 들은 다윗의 반응:

다윗은 이 이야기를 듣고 크게 분노하며 나단에게 말했습니다.

"여호와의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이 일을 행한 사람은 마땅히 죽을 자라! 그는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없이 이 일을 행하였으니 그 어린 양을 네 배로 갚아 주어야 할 것이다!"

비유의 의미와 나단의 지적:

그러자 나단이 다윗에게 "당신이 그 사람입니다!" 라고 말하며 다윗의 죄악을 직접적으로 지적했습니다.

  • 부자: 다윗 왕을 비유합니다. 다윗은 이미 많은 아내와 재산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충신인 우리야의 아내 밧세바를 탐냈습니다.
  • 가난한 자: 우리야를 비유합니다. 그는 다윗에게 충성을 다하며 자신의 아내 외에는 가진 것이 별로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 어린 암양 새끼: 밧세바를 비유합니다. 우리야에게는 소중한 존재였으며, 다윗은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그녀를 빼앗았습니다.
  • 손님: 다윗의 욕망, 혹은 순간적인 충동을 비유할 수 있습니다. 부자는 자신의 많은 것을 사용하지 않고, 남의 소중한 것을 탐내어 자신의 욕망을 채웠습니다.

비유의 효과:

나단은 직접적으로 "당신이 간음죄와 살인 교사죄를 지었습니다"라고 말하는 대신, 다윗이 스스로 자신의 죄를 깨닫고 정죄하도록 유도했습니다. 다윗은 비유 속 부자의 행동을 보며 의분과 분노를 느꼈고, 바로 그 감정을 통해 자신이 저지른 악행의 심각성을 깨닫게 된 것입니다.

이 비유는 나단의 지혜로운 책망 방식을 보여주며, 다윗의 마음을 움직여 회개로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다윗왕의회계

다윗 왕의 회개는 그의 죄악(밧세바와의 간음 및 우리야 살인 교사)이 드러난 후 나타나는 깊은 반성과 후회의 과정입니다. 이 회개는 성경 사무엘하 12장과 시편 51편에 잘 기록되어 있으며, 그의 신앙 여정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됩니다.

회개의 과정:

  1. 나단 선지자의 책망: 하나님은 선지자 나단을 다윗에게 보내 그의 죄를 깨닫게 하는 비유(가난한 자의 어린 양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다윗은 그 비유를 듣고 분노하며 죄를 지은 자를 심판해야 한다고 외치지만, 나단은 "당신이 그 사람입니다!"라고 직격탄을 날리며 다윗의 죄를 폭로합니다.
  2. 죄의 인정과 자복: 나단의 책망을 들은 다윗은 즉시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자복합니다. 사무엘하 12장 13절에는 "다윗이 나단에게 이르되 내가 여호와께 죄를 범하였노라 하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다윗이 변명하거나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자신의 잘못을 솔직하게 인정한 것을 보여줍니다.
  3. 깊은 슬픔과 애통: 다윗의 회개는 단순한 말의 고백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시편 51편을 통해 그의 깊은 슬픔과 죄책감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죄를 "나의 죄악", "나의 죄", "악을 행하여 주의 목전에 범죄하였나이다"라고 표현하며 철저하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합니다.
  4. 하나님의 긍휼을 구함: 다윗은 자신의 죄를 깨닫고 하나님의 진노를 두려워하며 간절히 하나님의 긍휼과 용서를 구합니다. 시편 51편에서 그는 "하나님이여 주의 긍휼하심을 따라 나를 불쌍히 여기시며 주의 많은 자비하심을 따라 내 죄악을 지워 주소서", "나를 주 앞에서 쫓아내지 마시며 주의 성령을 내게서 거두지 마소서"라고 기도합니다. 그는 자신의 죄를 깨끗하게 씻어주시고, 성령을 거두어가지 않으시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5. 깨끗한 마음과 정직한 영을 간구: 다윗은 죄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내면의 변화를 갈망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내 안에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라고 기도하며 단순히 죄의 결과만 없애는 것이 아니라, 죄를 지을 수밖에 없었던 자신의 마음을 새롭게 해주시기를 간구했습니다.
  6. 구원의 기쁨 회복과 순종의 다짐: 다윗은 하나님의 용서를 확신하며 구원의 기쁨을 회복시켜 주시고, 주의 영으로 그를 붙들어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또한, 하나님의 도를 범죄자에게 가르치고 죄인들이 주께 돌아오도록 인도하며, 하나님께 기꺼이 제사를 드리고 순종할 것을 다짐합니다.

회개의 결과와 의미:

  • 하나님의 용서: 다윗의 진심 어린 회개를 보신 하나님은 나단을 통해 그의 죄를 용서하셨다고 선언하십니다(사무엘하 12:13).
  • 죄의 결과: 그러나 죄에 대한 결과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다윗과 밧세바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죽었고, 그의 집안에는 칼부림과 반역이 끊이지 않는 등 고통스러운 결과를 겪게 됩니다. 이는 죄의 용서와 죄의 결과는 별개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신앙의 성숙: 다윗의 회개는 그의 신앙을 더욱 깊어지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연약함을 깨닫고 겸손해졌으며, 하나님의 긍휼과 용서의 깊이를 경험했습니다.
  • 후대의 교훈: 다윗의 회개 이야기는 죄를 지은 후 진심으로 회개하면 하나님의 용서를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하며, 동시에 죄의 심각성과 그 결과를 깨닫게 해주는 중요한 교훈을 남깁니다. 그의 회개를 담은 시편 51편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그리스도인들에게 회개의 모범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다윗 왕의 회개는 인간의 연약함과 하나님의 크신 사랑과 용서를 동시에 보여주는 감동적인 이야기입니다.

지금 세상으로 이 이여기를 옴겨 볼까요.

  • 권력의 정점에 있는 모든 위정자 들이 하나님을 두려워 하고 낮은자들의 말을 귀 기우려 준다면
  • 세상은 더 밝고 건강해 지리라 생각 합니다
  • 믿는 자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거스리는 짓을 안한다가 아니고 그들도 사람인지라 잘못 할수 있어요.
  • 그러나 회계 길목에서 남탓으로 돌리는 어리석은 우를 범하지 말하야 하지 않을까요???  

댓글